본문 바로가기

백양더부살이4

참쑥에 기생하는 백양더부살이 참쑥에 기생하여 사는 백양더부살이가 봄비에 많이 올라왔다. 전남 백양사 근처에서 처음 발견되어 백양더부살이라 명명된 식물이다. 제주도에서 많이 보았지만 이렇게 큰 개체들은 처음 보았다. 꽃이 오래 가지 못한다. 백양더부살이와 비슷한 초종용은 사철쑥에 기생한다. 흰색도 보였.. 2016. 5. 19.
제주도 4 - 초종용, 백양더부살이 초종용 쑥에 기생하는 식물로 백양더부살이와 비슷하게 생겼다. 초종용은 거의 해안가에서 발견되지만 백양더부살이는 내륙에서도 발견된다. 멸종위기 1급 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초종용은 사철쑥에 기생하고 백양더부살이는 참쑥에 기생한다. 그런데 2006년도에 신안군 우이도 같은 장.. 2014. 5. 26.
초종용 / 백양더부살이 초종용 해안가 모래에서 자란다. 백양더부살이 죽은 쑥 뿌리에서 더불어 자란다고 한다. 올해는 적기에 만날 수 있었다. 미나리아재비 작년보다 일찍 꽃들이 져서 노란색이 부족하다. 2013. 5. 5.
산방산 근처의 야생화 미나리아재비와 산방산 이 들판에서 종달새가 하늘에서 노래부르는 것을 보았다. 어려서 보고 수십년만에 종달새를 보았다. 실거리나무 초종용 바닷가 모래밭에서 자란다. 감자꽃 분홍엉컹퀴 백양더부살이는 끝물이고 옥녀꽃대 남쪽지방에는 옥녀꽃대가 자라고 북쪽지방에는 홀아비꽃.. 2012. 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