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에서 약으로 사용하였다 하여 약난초라 명명된 난과식물.
제주도, 전남, 전북지역에서 볼 수 있는데 습한 계곡에서 자란다.
꽃이 피면서 잎은 사그라지고 죽지만 제법 큰 고깔 모양의 구근(3cm 정도)은 여름을 나고 초가을에 잎을 올린다.
즉, 여름을 휴면하고 초가을에 잎이 나서 성장하여 꽃 눈을 만들고 겨울을 지나 늦봄에 꽃을 피운다.
감자난초와 같은 생태를 보이는데, 난과 꽃 중에서 가장 못 생긴 꽃으로 보인다.
전라남도 북쪽
이곳은 이제 꽃이 아래서 부터 피기 시작하였다.
다음 주 쯤이 절정일 것 같다.
두루미천남성
전라남도 남쪽지역
'[꽃] > 산에 들에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란과 끈끈이귀개 (0) | 2016.05.20 |
---|---|
참쑥에 기생하는 백양더부살이 (0) | 2016.05.19 |
바위에 붙어 사는 석곡 (0) | 2016.05.16 |
부생식물인 나도수정초 (0) | 2016.05.16 |
제비란 중에 가장 먼저 피는 나도제비란 (0) | 2016.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