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쪽 섬에는 야생 자란들이 많이 자란다.
습지에 자라던 큰방울새란은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렸다.
끈끈이귀개
남쪽 섬 야산에서 자라는데 벌레를 잡아 소화시켜 영양분을 취하는 식충식물이다.
잎이 진화하여 변화된 끈끈이의 점액에서 나는 향기로 벌레를 불러들인다.
긴 샘털이 있어 점액을 분비하고 벌레가 붙으면 떨어지지 않게 한다.
흰색 꽃이 피는데 약 1cm 정도이고 볕이 강한 낮에만 핀다.
전남의 섬지역에서 드물게 볼 수 있다.
높이는 10-30cm이다. 괴경(塊莖)은 지름 6㎜,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경생엽은 어긋난다.
잎자루가 있고, 길이 2-3㎜이며 초승달 모양으로 표면에 긴 선모가 밀집해 있다.
꽃은 흰색이며 화관의 지름 1cm이고 총상꽃차례이다.
꽃줄기와 더불어 꽃차례의 길이 2-6cm이며 꽃받침은 난형이다.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져 끝이 선(腺)이 된다.
꽃잎은 넓은 달걀형이며, 길이 6-8㎜, 수술은 5개, 암술대 3개, 각각 4갈래로 갈라졌다.
열매는 삭과로 3개로 갈라져 있다. 씨는 넓은 타원형, 세로 홈이 있으며, 개화기는 5월에서 6월이다.
자란
홍가시나무의 꽃
쥐꼬리풀
땅비싸리
'[꽃] > 산에 들에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불로동 고분군에서 자라는 꽃들 (0) | 2016.05.20 |
---|---|
습지에서 자라는 식물들 : 큰석류풀, 등포풀, 애기봄맞이꽃, 선제비꽃, 큰물칭개나물 (0) | 2016.05.20 |
참쑥에 기생하는 백양더부살이 (0) | 2016.05.19 |
어두운 숲에 사는 약난초 (0) | 2016.05.17 |
바위에 붙어 사는 석곡 (0) | 2016.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