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유]/삶의 香氣

아름다운 蘭(The Exquisite Orchids)

by 해오라비 이랑 2008. 12. 18.

 

 

 

 

 해오라비蘭

 

 

 

타래蘭

 

 

닭의蘭草

 

 

 

 

National Geographic 1971년 4월호에 실렸던 내용을 발췌하여 글을 씀.

 

"난이란 무엇인가"이란 질문에 가장 잘 어울리는 답변은 무엇일까?

희귀하면서 키우기 어렵고, 꽃 피우는데 수년이 걸리고, 여성적이며 연약한 꽃?

그러나 꼭 그렇지만은 않다.

거의 모든 장소에서 자랄 수 있는 보통의 화초이며, 키우기 쉬운 식물 중의 하나이다.

연약하다는 것과는 동떨어진 강건한 남성적인 화초인 것이다.

 

세상에서 신비롭고 아름다운 꽃이 蘭인 것이다.

지구에는 약 35,000여종이 있으며 전체 식물 집단 중에서 약 1/7을 난과 식물이 차지하고 있고,

동물 중에서 인간이 최상 위에 있는 것처럼 식물 중에서 蘭이 최고 상위 식물이다.

정글에서도 자라고, 고산지대, 나무, 줄기, 바위, 땅 그리고 물에서도 자생한다.

이 세상에는 매우 특이한 난이 존재하는데, 땅속에서만 자라고, 땅속에서만 꽃이 피며, 햇볕을 전혀 보지 않고 자라는 난이 있다.

Rhizanthella gardneri라는 종류인데, 1928년에 오스트렐리아에서 발견되었다.

 

난의 크기를 보면 손톱만한 것에서부터 포도나무처럼 수십미터에 이르는 것도 있다.

꽃 색깔은 검은 색을 빼고는 거의 모든 색깔의 꽃이 핀다.

최근에는 검은 색에 가까운 난들이 개발되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난과 식물을 가장 매력있는 식물로 보았다.

식물의 아버지라 불리는 Theophrastus는 남성 심벌에서 이름을 따와 Orchis라 난과 식물에 이름을 붙였다.

고대 그리이스에서부터 중세까지도 난과 식물은 비너스를 유혹할 수 있는 성적 능력을 준다고 여겨왔다.

난초 뿌리를 먹으면 아직 태어나지 않은 아이에게도 섹스 능력을 주는 것으로 믿어왔다.

이런 믿음이 없어진 지금도 난꽃은 정신적으로 이런 영향을 준다고 일부 사람들은 믿고 있다.

"당신의 Valentine에게 난을 보내면 기적이 일어난다"라는 선전 문구도 있다.

 

우리는 지금도 난을 식용하고 있다.

바닐라 아이스크림의 독특한 맛과 향을내는 것은 마다카스카르 섬에서 자라는

Vanila Planifolia라는 난과 식물의 씨에서 추출한 것이다.

 

1731년에 영국의 한 식물 애호가는 Bahamas에서 완전히 말라버린 식물표본을 하나 받았다.

뿌리가 튜브 구조를 갖고 있어 포기하지 않고 심어 키웠더니 다음 해에 핑크색 꽃을 피웠다.

이것이 유럽에 온 최초의 열대 난이었으며, Blemtia Purpurea라는 난이다.

당시 네덜랜드의 튜립이 각광을 받던 시기였는데 이때부터 난이 각광받는 전환점이 되었다.

 

그후 난들은 열대지방에서 계속 가져와 온실에서 난방을 하며 키워 보았지만 대부분 죽었다.

1835년에 어느 한 영국 사람이 착생란을 자연 상태의 나무에 붙여서 키우는 데 성공하였다.

이 선구자는 온실의 창을 열어 온실 온도를 낮추어 주었는데, 당시에는 거의 기적에 가까운 일이었다.

온실의 창을 여는데 무려 100년이란 세월이 흐른 것이다.

 

 

 

 

 

 

 

 

'[여유] > 삶의 香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의 야경  (0) 2008.12.29
전주콩나물국밥  (0) 2008.12.27
Hoegaarden 생맥주  (0) 2008.12.12
요한의 집  (0) 2008.11.21
국립현대미술관  (0) 2008.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