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 견지동에 소재한 조계사를 처음으로 들어가 보았다.
중학교때부터 이 앞을 지나 다니면서도 한번도 들어가 보지 않았는데,
부처님 오신 날이라 근처에 간 김에 들어가 보았다.
부처님 오신날 행사를 하여 점등식도 볼수 있었는데 하늘에 반달이 떠 있었다.
마당에는 커다란 白松 한그루가 자라고 있다.
조선시대때 중국에서 선사한 몇개의 백송 중 하나다.
또 그중의 하나였던 창덕여고(현재 헌법재판소)의 백송은 자주 보았다.
중국에는 백송이 흔하여 북경 시내의 가로수로도 심어져 있다.
아래는 다음 백과사전에서 발췌한 내용임.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이 있는 한국 제일의 포교전법도량이다.
1911년 한용운과 이회광이 중동중학교 자리에 각황사(覺皇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
1915년 포교와 교육사업을 위해 31본산 연합사무소를 설치했으며,
1929년 승려대회를 열어 조선불교 선교양종의 종헌을 제정하고 중앙교무원을 설립했다.
1937년 조선불교총본산을 설립하기로 결의하고, 17만 원의 경비를 들여 1938년 각황사를 지금의 자리로 이전했다.
이때 삼각산에 있던 태고사(太古寺)를 이곳으로 옮겨오는 형식을 취해 절이름을 태고사로 바꾸었다.
1955년 이 절을 중심으로 불교정화운동이 전개되면서 다시 절 이름을 조계사로 고쳤는데,
현재 대부분의 절은 조계종에 속해 있다.
경내에는 대웅전을 비롯한 현대식 건물인 불교회관과 불교정화기념관 등이 있다.
대웅전 앞뜰에 있는 사리탑은 1930년 스리랑카의 달마파라(達摩婆羅)가 가져온 석가모니의 진신사리 1과를 봉안한 것이다.
그밖에 상원사(上院寺)에서 가져온 동종 등이 있다.
白松
반달이 중천에 떠 있고.
'[여행] > 국내여행과 고적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차마을과 連理枝가 있는 도림사 (0) | 2010.11.13 |
---|---|
만뢰산 아래의 보탑사 (0) | 2010.06.03 |
병산서원과 겸암정사 (0) | 2010.04.29 |
안동 하회마을의 봄 (0) | 2010.04.29 |
안동 조탑동 오층전탑 (0) | 2010.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