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꽃]980

큰앵초/요강나물/금강애기나리(곰배령) 저녁 11시가 넘어 강선리 설피민박집에 도착하였다. 태백에서 구불구불한 강원도 국도를 따라 운두령, 구룡령, 조침령 등 3개의 높은 고개를 넘어 3시간 30분만에 도착하였다. 운전을 혼자하느라 고생한 첫눈님께 감사한 마음이다. 설피민박집은 추장인 남자 혼자서 운영하는데 집을 지은지 오래되지 .. 2008. 5. 20.
태백바람꽃/대성쓴풀/산작약/나도개감채(태백산) 백단사에서 반재까지 올라 300m를 더 올라가니 태백바람꽃을 만날 수 있었다. 10일전 야생화 기행 때 위치를 제대로 몰라서 반재까지만 탐사하고 내려왔었다. 태극바람꽃은 위쪽에 자생하는 회리바람꽃, 아래쪽에 자생하는 홀아비바람꽃 군락지 사이에서 자라고 있다. 잎과 암수술은 회리바람꽃을 닮.. 2008. 5. 20.
모데미풀/노랑무늬붓꽃/연령초/동의나물 천동 계곡가는 길 양편에서 담은 야생화들이다. 해발 1300m에는 모데미풀, 홀아비바람꽃, 너도바람꽃, 현호색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이곳이 우리나라 모데미풀의 최대 군락지임이 틀림없다. 시간이 많으면 더 아래쪽 계곡으로 탐사를 해 보는 것인데. 내년에는 계곡으로 일찍 올라와 천천히 탐사해 보.. 2008. 5. 19.
冠山의 야생화 용인시 초부리와 관산의 계곡에서 야생화를 담아 보았다. 2008. 5. 12일(월) 부처님 오신날 으름덩굴이 수정되어 열매를 잉태하였고. 한약재로 사용하는 "긴병꽃풀". 토종 허브로서 개화는 4-5월에 하며 키는 대략 10~20CM내외로 옆으로 뻗으며 자란다. 어린 순을 봄나물로 먹으며 민간에서 토혈, 혈변, 자궁.. 2008. 5.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