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980 사과키우기 사과 겨울을 기점으로 잡아보자 (1) 전지(가지치기)를 하고나면 전지목 줍고나면 퇴비를 살포하고 부란병(나무가 말라가는 병)을 치료해준다 농약명 : 네오아소진(잎짓무늬 마런병) (2) 그리고나면 비료를 살포하고나면 응애(벌레)약을 살포한다 꽃눈이 형성되면 꽃눈이 충실하도록 영양제를 살포하고 .. 2005. 11. 5. 백두산의 야생화와 압록강변 7월초에 백두산을 올랐다. 심양까지 비행기로 가고, 버스를 타고가 백두산 천지에 올랐다. 천지 아래는 야생화가 만발하여 볼만하였다. 지금이 가장 많이 피는 때이다. 버스에서 내려 30분만 걸어 올라가면 천지가 나온다. (붓꽃, 원추리 등이 피어있는 야생화 들판) (장마로 구름이 많았으나 간간히 천.. 2005. 7. 12. 고구려유적과 백두산을 가다 장군총(장수왕의 무덤) 광개토대왕비 압록강 건너의 북한 땅 오녀산성 집안의 국내성 국내성의 외곽 산성인 환도산성 백두산 입구 심양의 북한 음식점에서 백두산 가는 도중의 어느 초등학교 교무실 오녀산성에는 깽깽이풀이 자라고 있다. 고구려 유적지 (1) 환인 : 주몽이 세운 고구려의 첫번째 수도 .. 2005. 7. 11. [스크랩] 구근식물의 종류와 관리요령 1. 춘식구근 월동이 않되어 봄에 심어 꽃을 본 후 가을에 캐서 얼지않게 보관해야 하는 구근류 : 아마릴리스, 구근베고니아, 제피란터스, 칸나, 다알리아, 글록시니아, 글라디올러스, 글로리오사, 아네모네, 라넌쿨러스 등 (1) 춘식구근의 재배 심는 시기 : 3∼4월 경 관리요령 : 심을 때 밑거름을 주고 심.. 2005. 2. 20. 이전 1 ··· 242 243 244 2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