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원미륵리사지는 월악산 송계 계곡을 따라 올라가면 나오는데 사자빈신사지에서 그리 멀지 않는 곳에 있다.
송계 계곡 도로는 제천시에서 충주시로 시계를 넘어가게 되어 있다.
미륵리사지는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에 있고 사적 317호이다.
동쪽으로는 하늘재, 서쪽으로는 지릅재 사이의 분지에 있고 월악산 능선이 보이는 북향으로 가람이 지어졌다.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하고 옛 고구려 땅을 수복하기 위한 의지로 북향으로 가람을 배치했다는 설도 있다.
1970년대 발굴 조사에서 절터 옆에 있는 미륵대원터에서 미륵당, 미륵당초 라고 적힌 기와들이 출토되었다.
삼국유사에 적힌 미륵대원계립령동령야(彌勒大院鷄立嶺東嶺也)라는 기록과 일치한다.
이 원터는 계립령(지금의 하늘재)길과 관련되어 고려때에 운영되다가
조선시대에 조령(문경새재)에 관방시설이 설치되면서 이곳은 그 기능을 상실된 것으로 추정한다.
대원터는 回자형의 구조이고 가운데는 말을 묶어 둔 마방 시설이 있었다.
영남에서 북쪽으로 넘어 오는 사람들을 통제하고 사람들이 묵을 수 있는 숙소가 있었다.
이곳은 사찰과 원터의 기능이 같이 어우러진 유적지이다.
미륵불.
3면은 돌로 벽을 쌓고 위는 나무로 천장을 하여 지어진 건물 내부에 있었던 미륵불로 보인다.
어느 스님의 부도탑이었을 터인데,
탑비와 이수는 없어지고 귀부만 남아 있다.
귀부의 크기로 보아 부도탑의 큐모가 상당하였을 것 같다.
미륵불을 모신 불당 앞에 1탑 1석등 양식을 따르고 있다.
멀리 월악산 정상이 보인다.
미륵리 5층석탑.
보물 95호이며 높이 6m이다.
몸돌에 비해서 옥개석(지붕돌)이 좁아 무척 투막해 보인다.
상륜부를 장식하던 찰주는 휘어 있다.
미륵불을 안치하였던 불당의 벽 장식들이 파손되어 일부만 남아 있다.
작은 불상들이 큰 돌 사이에 있었나 보다.
미륵불 불당에 들어가는 입구 문 흔적.
석등의 화창 사이로 미륵불이 보인다.
지긋이 눈을 내리깐 모습이 아름답다.
대원터 뒷편에 있는 3층석탑.
소박하고 단아한 모습으로 고려때 제작된 전형적인 3층 석탑 양식이다.
'[여행] > 국내여행과 고적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46호인 익산 고도리의 석불입상 (0) | 2009.12.26 |
---|---|
월출산 무위사와 월남사지 (0) | 2009.12.25 |
보물 94호인 사자빈신사지(獅子頻迅寺址) 석탑 (0) | 2009.12.12 |
국보 6호인 중앙탑과 중원 고구려비 (0) | 2009.12.06 |
국보 16호인 안동 신세동 7층전탑 (0) | 2009.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