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에 담았던 노랑앉은부채는 누군가 파가서 사라져 버렸다.
계곡을 좀 더 올라가 보니 나무 밑에 있던 꿩의바람꽃도 사라졌다.
지금쯤 활짝 웃는 얼굴로 피어 있을 터인데.
꿩의바람꽃이 자리하였던 그 자리가 눈에 선하다.
바람꽃들은 구근 식물이라 콩알보다 작은 구근이 땅 깊이 숨어 있다.
캐다가 구근이 끊어져 버려서 결국 그 생명체는 죽게 된다.
계곡은 계속 황폐해지고 있다.
예년에 비해서 늦게 꽃이 핀다.
청노루귀.
아직 입을 다물고 있는 꿩의 바람꽃.
꽃이 활짝 핀 모습보다 이 정도일 때가 더 아름답다.
앉은부채의 암술이 먼저 나온 모습.
근친상간을 막기 위해서 암술이 다른 개체와 사랑을 나눈 후에 수술이 나오는 특이한 식물이다.
너도바람꽃은 아직도 피고지고
개감수
만주바람꽃도 아직 입을 열지 않고.
'[꽃] > 산에 들에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뒷태가 아름다운 들바람꽃 (0) | 2010.04.09 |
---|---|
동강에는 동강할미꽃이 피었다. (0) | 2010.04.03 |
눈에 묻혔던 너도바람꽃이 고개를 들고 (0) | 2010.03.14 |
서해안 섬의 노루귀와 복수초 (0) | 2010.03.14 |
앉은부채와 너도바람꽃 (0) | 2010.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