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전부터 한번 오고 싶었던 곳인데 이제사 찾아가 보았다.
황매산 주차장에서 그리 멀지 않았는데 예전엔 황매산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이동하느라 오지 못하였다.
이른 아침에 좁은 마을 길로 영암사지에 도착해 보니 뒤편으로 바위 산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있고 앞에는 들판이 보인 명당자리였다.
좌청룡 우백호였던가? 기가 막힌 명당자리다.
아직 발굴 작업을 하는지 끈으로 구역을 구분해 놓았다.
금당 앞으로는 3층석탑, 쌍사자 석등 있고
1탑 1 석등 양식의 사찰로 지어졌다.
쌍탑으로 사찰을 짓던 시대 보다 오래 되었다.
경주 감은사가 우리나라 쌍탑의 시초로 알려져 있다.
3층석탑의 몸돌에는 어떤 문양도 새겨져 있지 않았다.
상륜부는 사라져 버렸고 옥개석이 아름답고 비례감이 출충한 아름다운 탑이다.
옥개받침도 어긋남이 없고 기단석의 우주와 탱주도 탱탱하다.
물걸리사지 석탑이나 한계사지 석탑과 거의 비슷하다.
금당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양쪽에 돌로 만들어져 있다.
건물이 있던 곳을 이렇게 화강암으로 석축을 쌓았는데 아주 정교하게 만들었다.
금당이 있던 건물을 둘러싸고 있는 기단.
올라가는 계단 주변을 돌로 장식하였는데 파손되어 어떤 모양이었는지 궁금하다.
쌍사자석등
한반도에 사자가 없던 시절에 중국 것을 보고 만든 석등.
암수 두 마리를 새겼는데 구별이 잘 안되었다.
화사석 사이로 해를 담아 보았다.
금당이 있던 자리에는 기단석만 남아 있다.
측면에 이런 동물이 조각되어 있는데 사자로 보인다.
사자를 한번도 보지 못한 그 당시 석공들이 ...
귀여운 바둑이 귀같고 표정은 용맹한 사자가 아니라 인자해 보인다.
금당 뒤편에서 본 풍광.
파리풀
무릇꽃이 지고 있다.
절 왼편 뒤편으로는 부도탑이 있다.
명당자리다 보니 어떤 사람들의 묘지가 부도탑 옆으로 몇 군데 보인다.
이런 명당 자리에 몰래 후손 들이 묘지를 조성한다.
그런 명당 자리는 나같은 사람에게도 보인다.
건물을 사이에 두고 2개의 부도탑비가 있었는지, 탑신부와 이수는 사라지고 귀부만 남아 있었다.
어느 고승의 부도탑일까?
禪宗 이후에 생긴 부도탑이니 아마도 통일신라 후기나 고려 초기일 것이다.
왼편에 있는 귀부
이무기가 여의주를 물고 있다.
거북이 몸에 이무기 얼굴을....
석등 사이로 3층 석탑을 보았다.
사자의 근육질 다리가 튼튼해 보인다.
암수를 구별 할 수 없다.
아마도 왼편이 숫사자, 오른편이 암사자 아닐까?
하체 근육과 꼬리로 추측해 보건데...
화사석 4면에는 8부중상의 일부가 새겨져 있다.
좀 거칠게 양각되어 있다.
오른편에 새로 들어선 절이 크게 지어져 있는데 상당히 어설프다.
모산재로 올라 황매산가는 등산로.
다음에는 이곳으로 올라 별밤을 담아 봐야겠다.
'[여행] > 국내여행과 고적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고종 종찰인 선암사의 가을 (0) | 2015.11.17 |
---|---|
九山禪門의 한 곳이었던 태안사의 능파각 (0) | 2015.08.17 |
배롱나무가 핀 담양 鳴玉軒 (0) | 2015.08.09 |
국보 197호가 있는 청룡사지 (0) | 2015.02.11 |
국보 11호 석탑이 있는 미륵사지 (0) | 2015.01.28 |